최근 증시 흐름이 심상치 않습니다.📈 코스피가 3년 10개월 만에 3130선을 돌파하며 연고점을 경신했기 때문인데요.
이제는 단순 반등이 아닌 ‘진짜 상승’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지금 시장이 왜 움직이는지,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놓치면 뒤처질 수 있는 오늘의 증시 흐름, 함께 살펴보시죠!
코스피, 3년 10개월 만에 3130선 돌파
2025년 7월 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8.79포인트(0.60%) 상승한 3,133.74에 마감하며, 지난 3일 기록한 종가 기준 연고점 3,116.27을 다시 넘어섰습니다.
이는 2021년 9월 17일 이후 약 3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시장에선 이를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상승의 원인은? 신정부 정책과 정책 기대감
증시 상승의 주요 동력은 정책 기대감입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여기에 미국과의 관세 협상 낙관론까지 더해졌습니다.
‘타코(TACO: 트럼프는 항상 겁먹고 물러난다)’ 기대감 또한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로 이어졌습니다.
누가 사고 누가 팔았나? 개인 vs 외국인/기관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4,309억 원 규모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273억 원, 581억 원어치를 순매도했습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도 2,729억 원을 매도해 조정 압력을 주었습니다.
강세 종목: 자사주 소각 기대 관련주 주목
자사주 비중이 높은 증권주들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 부국증권: +29.90%
- 신영증권: +17.18%
- 대신증권: +11.03%
또한 구리 관련 종목인 대창, 대한전선, 서원도 상승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리 관세 부과 발언 이후 가격 급등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약세 종목: 반도체와 빅테크의 흔들림
반면 삼성전자는 부진한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63%를 기록했고, SK하이닉스도 하락 전환했습니다.
기타 약세 종목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0.65%), 현대차(-0.71%), NAVER(-1.55%) 등이 있었습니다.
코스닥도 상승 개인 + 외국인 매수세 주목
코스닥지수 역시 전일 대비 6.12포인트(0.78%) 오른 790.36으로 마감하며 3거래일 연속 상승했습니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2억 원, 516억 원 규모로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685억 원을 매도했습니다.
강세 종목에는 에코프로비엠, HLB, 파마리서치 등이 있었으며, 클래시스, 코오롱티슈진 등은 하락했습니다.
오늘의 요약 표
구분 | 지수 | 변동 | 비고 |
---|---|---|---|
코스피 | 3,133.74 | +0.60% | 3년 10개월 만에 최고치 |
코스닥 | 790.36 | +0.78% | 3거래일 연속 상승 |
개인 순매수 | 4,309억 | - | 유가증권시장 주도 |
외국인 순매도 | 4,273억 | - | 반도체주 중심 |
Q&A
Q1. 코스피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주된 이유는?
A. 신정부 정책 기대감, 자사주 소각 의무화 추진, 관세 완화 기대 등 정책적 모멘텀이 영향을 주었습니다.
Q2. 증권주가 왜 급등했나요?
A.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정책 기대감이 부각되며, 자사주 비중이 높은 증권주에 매수세가 몰렸습니다.
Q3. 외국인은 왜 매도세를 보였나요?
A. 원화 약세와 관세 관련 불확실성으로 인해 외국인은 특히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Q4.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A. 상승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나 외국인의 매도와 글로벌 이슈로 변동성이 큰 만큼,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Q5. 앞으로 주목해야 할 이슈는?
A. 상법 개정안 진행 상황, 미국과의 관세 협상, 트럼프 발언 등 대외 정치 이슈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결론 및 앞으로의 대응 전략
코스피가 다시 3,130선을 회복하며 연고점을 돌파했다는 것은 분명히 고무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외국인의 매도세와 글로벌 이슈는 여전히 리스크 요인입니다.
개인 투자자라면 정책 수혜 업종과 실적 호조 기업에 선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또한 시장의 큰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뉴스와 데이터를 꾸준히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냉정한 분석과 전략적 투자가 여러분의 포트폴리오를 지켜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