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멕시코가 낳은 기이한 과학자, 하코보 그린버그의 삶과 실종(신터지이론,과학과 샤머니즘,그린버그의 유산)

by 세상을품은커피 2025. 7. 4.
반응형

 

멕시코가 낳은 기이한 과학자, 하코보 그린버그의 삶과 실종(신터지이론,과학과 샤머니즘,그린버그의 유산) / 출처 : https://philpapers.org/rec/GRIIAA

 

 

심리학과 뇌 과학, 그리고 샤머니즘의 경계를 넘나든 과학자, Dr. 하코보 그린버그. 그는 단순한 학자가 아니었습니다. 과학적 방식으로 의식과 현실의 본질을 연구했고, 결국 그의 행보는 과학계의 경계를 넘나들며 초자연과 과학의 융합을 시도한 전설적인 인물로 남게 되었죠.

 

멕시코가 낳은 기이한 과학자 더보기👆

하코보 그린버그의 성장과 초기 연구

- 출생: 1946년, 멕시코시티
- 어머니의 죽음(12세): 뇌졸중으로 어머니를 잃은 그는 인간의 뇌와 마음에 대한 탐구를 결심
- 대학교: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UNAM)에서 심리학 전공
- 박사과정: 뉴욕 브레인 리서치 연구소에서 심리생리학 박사 취득
- 박사 논문: 인간 뇌에 미치는 기하학적 자극의 전기생리학적 효과

그는 멕시코로 돌아와 심리생리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뇌와 의식, 텔레파시, 명상, 샤먼 교류에 대한 50권 이상의 연구서를 출판하게 됩니다.

신터지 이론(Syntergy Theory)이란?

 

그린버그의 대표적 이론은 Syntergy Theory로, 1994년 저서 『El Cerebro Consciente(의식하는 뇌)』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핵심 개념:

- 현실은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 다르며, 인간의 뇌는 ‘센터제닉 밴드(Synergenic Bands)’를 통해 정보를 해석
- 이 세계의 본질은 우리가 보지 못하는 라텍스(Látice) 또는 매트릭스(Matrix) 안에 존재
- 현실은 관찰자(우리)의 의식에 의해 생성되고, 인간은 이 매트릭스에 영향을 주는 존재
- 우리의 개인적 경험, 역사, 편견 등이 현실 인식의 필터로 작용한다
- 진정한 현실에 접근하려면 이 모든 필터를 지우고 통합 의식 상태(unity consciousness)에 도달해야 함

과학과 샤머니즘의 융합

그린버그는 과학자이면서도 멕시코 원주민 샤먼들과 직접 교류하며 명상 기법을 연구했고, 이를 과학적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의 접근 방식은 보수적인 학계에서는 비과학적이라 비난받았지만, 동시에 새로운 철학과 심리학 연구자들에겐 영감을 주는 실험적 접근이었죠.

하코보 그린버그의 실종과 음모론

 

1994년 12월 8일, 47세의 하코보 그린버그는 대규모 텔레파시 실험을 앞두고 갑작스레 실종됩니다. 당시 그는 멕시코-인도 간 비기술적 의사소통 실험을 준비하고 있었고, 그 주간은 그의 연구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될 예정이었습니다.

주요 음모론:

1. CIA 개입설:
- 콜로라도에서 두 명의 검은 옷 남성과 함께 목격
- 이들이 미국 정부 요원이라는 주장
- 담당 수사관 파디야는 케이스에서 해임되고 경찰직까지 그만둠

2. 자가 도피설:
- 너무나도 깊이 있는 연구 끝에 정신적 한계에 다다라 스스로 은둔했을 가능성
- 영적 여정을 떠났다는 설도 존재

3. 아내의 첩자설:
- 그의 두 번째 부인이 미국 정보기관의 스파이였다는 주장도 있으나 신빙성은 낮음

그린버그의 유산

 

그의 연구는 ‘뉴에이지 과학’으로 간주되며 지금도 심리학, 의식 연구, 철학, 영성계에서 회자되고 있습니다. 그는 단지 과학자 이상의 존재였습니다. 과학과 영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탐험가이자 개척자였죠.

마무리: 현실은 우리가 인식하는 것인가, 만들어내는 것인가?

하코보 그린버그는 “현실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는 것이다”라는 철학적 주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 했습니다. 그는 끝까지 자신만의 길을 걸었고, 결국 그 길 위에서 사라졌습니다.

그가 단순한 괴짜였는지, 혹은 진실에 너무 가까이 다가간 인물이었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입니다.

 

멕시코가 낳은 기이한 과학자 더보기👆

"

<\/p>"

반응형